티스토리 뷰
최근 금융업계에서는 연준의 기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로 이슈가 있었죠. 그로 인해 고금리 막차 타려는 고객들이 몰렸다가 현재는 주춤하는 추세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은행권에서는 고객의 발걸음을 되돌리기 위해 특판 경쟁이 치열하다는 소식이 매스컴을 통해 들려오는데요. '특판' 하면 무언가 대단할 것 같지만 사실은 월 납입 한도가 너무 적고 고금리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우대 금리를 충족하기에는 너무 까다롭죠.
특판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우대금리 충족 조건에 대해 꼼꼼하게 살펴보아야 한다는 지적이 뒤따르고 있습니다.
이 시간 특판 상품에 대해서는 잠시 제쳐두고, 4월 둘째 주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를 비교 정리해 보았는데요. 차분히 읽어보시고 여러분의 예금 가입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인기 있는 은행권 예금 상품에 대해 정리했어요★
1. 새마을금고 예금금
2. 저축은행 예금금리
3. 단위농협 예금금리
4. 신협 예금금리
★갱년기가 의심되신다면 확인해 보세요★
1. 갱년기 자가진단 테스트
목차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는 가장 인기 있는 가입 조건에 맞춰 정리했는데요. 가입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입 조건]
1. 순위: 1~10위
2. 예치 기간: 12개월
3. 예치 금액: 1,000만 원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 주세요.
위 정기예금 금리 순위는 금융감독원 홈페이지에서 참고했는데요.
현시점 정기예금 금리가 가장 높은 은행은 수협은행의 헤이(Hey) 정기예금으로 금리가 3.65%입니다. 지난달부터 꾸준히 1위의 타이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금융상품 중에서 예금 금리가 가장 높은 곳이 새마을금고인 것은 다들 아실 텐데요. 잠깐의 맛보기로 1~3위까지 알아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시중은행과 마찬가지로 가입 조건을 같게 보았을 때 금고와 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강원 속초시에 소재한
속초중앙 새마을금고 부영지점의 Block예금
금리: 4.50%
2. 서울 서대문구에 소재한
홍은새마을금고 본점의 경영평가대상수상특판예금
(12시 이전 방문고객 중 상품 가입 조건 충족 시)
금리: 4.50%
3. 전북 정읍시에 소재한
정읍 새마을금고 수성지점의 Block예금
금리: 4.40%
현시점 시중은행에서 정기예금 금리가 가장 높은 수협은행의 3.65%와 0.85%p 차이가 나며 금융상품 중에서는 가장 낮은 편입니다(금리 높은 순서: 새마을금고 > 신협 > 저축은행 > 단위농협 > 시중은행).
금융사 예금금리 확인 바로가기
새마을금고 예금금리 확인 |
신협 예금금리 확인 |
저축은행 예금금리 확인 |
단위농협 예금금리 확인 |
높은 금리를 자랑하는 금융권 상품이 아닌 시중은행 예금에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아무래도 안정성이 보장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 위 시중은행 1~10위 이미지에서 보시다시피 1 금융권에 해당하는 은행은 총 3곳이 있는데요. 농협은행 주식회사의 NH올원e예금, NH왈츠회전예금 ll과 우리은행의 WON플러스예금 상품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1~10위에 해당하는 은행의 예금 가입 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아래 표로 정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 상품명을 클릭하시면 가입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시중은행 정기예금 가입 방법 | |
온라인 가입만 가능 |
[수협은행] 헤이(Hey)정기예금 [전북은행] JB 다이렉트예금통장 (만기일시지급식) [농협은행 주식회사] NH올원e예금 [대구은행] IM스마트예금 [주식회사 K뱅크] *코드K 정기예금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 |
방문 가입만 가능 |
- |
온라인 /방문 가입 모두 가능 |
[광주은행] The플러스예금 [한국산업은행] KDB정기예금 [대구은행] DGB함께예금 [농협은행 주시고히사] NH왈츠회전예금 ll |
※ [주식회사 K뱅크]의 코드K 정기예금은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가입 가능(아래 이미지 참고)
시중은행 기간별 금리 비교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 비교를 예치 기간 6개월과 12개월을 두고 살펴보겠는데요.
12개월 못지않게 6개월도 상품도 관심이 뜨겁습니다. 예치 금액 1,000만 원을 기준으로 정리한 점 참고 바랍니다.
6개월 vs 12개월
예치 기간 6개월 기준과 12개월 기준을 보면 다소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4가지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먼저 6개월 기준을 보자면, 가장 높은 정기예금 금리(1위)는 3.70%로 전북은행의 JB 다이렉트예금통장(만기일시지급식)이 되겠습니다. 12개월 기준일 경우 3위에 위치해 있기도 했고 금리도 0.1%p 낮습니다.
2. 12개월 기준, 예금금리가 가장 높은 은행은 수협은행의 헤이(Hey)정기예금인데요. 6개월 기준과 비교하자면 0.05%p가 낮습니다.
3. 6개월과 12개월 간에 금리 변동이 없는 은행과 상품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협은행의 헤이(Hey)정기예금입니다. 12개월 기준인 3.65%로 같습니다.
2) 대구은행의 IM스마트예금입니다. 마찬가지로 3.55%로 같습니다.
4. 6개월과 12개월 기준 가장 높은 은행 상품의 세후이자는 각각 156,500원과 309,000원으로 152,500원의 차이가 있습니다.
지금까지 4월 둘째 주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 비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목돈을 굴리시기 위해 고금리를 자랑하는 금융권에 가입할 수도 있고, 안전성이 보장되는 시중은행(특히 1 금융권) 예금 상품에 가입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예금자 보호법의 적용을 받을 수 있어 굳이 시중은행 예금이 아니어도 될 것이라 생각하는데요. 저도 월급 통장은 1 금융권을 이용하고 있고 예·적금은 새마을금고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각자의 환경과 주관을 믿고 소신 있게 예금에 가입하시는 것은 어떨까요?
이상으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포스팅 끝.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넷째 주]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비교 (0) | 2024.04.22 |
---|---|
(4월 셋째 주) 시중은행 예금금리 가장 높은 곳 (0) | 2024.04.16 |
(2024년 4월) 새마을금고 예금금리 가장 높은 곳 (0) | 2024.04.02 |
(3월 넷째 주) 새마을금고 정기예금 금리비교 (0) | 2024.03.25 |
3월 새마을금고 예금금리 가장 높은곳 (0) | 2024.03.04 |